목록Review (17)
JS의 세계산책

최근 IT계의 이슈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게임 성능(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 GOS) 조작이다. 유튜브의 주요 IT 전문 리뷰 뿐만 아니라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등장하며, 삼성전자 직원의 인터뷰로 더욱 논란이 확산된 모양새다. 단순히 성능 조절 수준이 아니라는 점에서 조작, 속임, 뻥튀기 등의 표현들이 등장하며 삼성의 조치와 대응에 대한 분노에 가까운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여러 의혹과 주장에 대해 아직 모든 것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분명한 것은 삼성의 현 대응이 사용자들의 불만을 잠재우지 못했으며, 스마트폰의 성능을 점수화하는 긱벤치 리스트에서 갤럭시 S10부터 S22 전 모델을 제외시킨 것은이 문제가 국제적인 이슈로도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삼성 GOS 이슈의 전조, 원플러스 벤치마크 ..

1. 옵티머스 LTE 2 (2012년 5월) 나름 네모 반듯하고 삼성에 비해 꽤 빠릿빠릿했던 동작 때문에 좋아했던 폰 2. 옵티머스 뷰 2 (2012년 9월) 독특한 화면비율을 가져 눈에 띄었던 폰. 3. 옵티머스 G (2012년 9월) 출시 당시 심플하면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관심을 받았던 모델. 발열, 쓰로틀링으로 고생했던.. 4. G2 (2013년 8월) 가장 멀쩡해서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남은 건 G2이지 않을까.. 5. G3 (2014년 5월) LG폰의 전성기에 나온 모델. 오줌액정을 제외하고는 꽤 호평 6. G4 (2015년 4월) 독특한 후면 가죽처리로 주목받았지만... 단통법으로 망했고, 제품 자체의 문제도 많았던 것으로. 7. G5 (2016년 3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모델... ..

1. 서론 - 유독 스마트폰 부문에서 부진한 LG전자 - 후발주자? 삼성, 블랙베리, 노키아 등이 사업에 진출할 때, LG는 전통을 고집하고 뒤늦게 시장에 진입 (-> LG만 늦었다고 볼 수 있는가? 샤오미 역시 2011년에 최초로 스마트폰 출시 시작) - "삼성과 애플은 자신들만의 강점을 살린 플래그십 모델을 통해 ... 세계시장의 상위 입지를 다졌으며, 중국기업들은 ... LG전자를 맹추격하기 시작했다" -> 반론: 엄밀히 본다면 삼성도 옴니아와 초기 갤럭시 모델에서 자신만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까지 시간이 필요했음 (삼성 스마트폰에 대한 애플의 법정 다툼) + 중국기업 역시 초창기에는 (혹은 지금도 어느정도) 대놓고 애플을 (이후에는 삼성도) 모방 -> 결국 copy에 가까운 inspiration..

1. 배경 - 2019. 4분기 애플 실적: 매출 640억 달러 - 2019. 12월 말 시총 1500조 돌파 - 팀 쿡 "서비스, 웨어러블 및 아이패드 성장 주효" + 애플티비 플러스 및 서비스 라인업 매출 낙관 - 애플의 성장성: 아이폰 외 웨어러블, 모바일 관련 서비스 -> 모바일 생태계 / 플랫폼 구축 2. 아이폰 - 2012년 이후 애플 매출 비중에서 약 50% 내외 유지, but 최근 소폭 감소 중 - 2018년부터 서비스 매출 비중 커짐 - 선진국 스마트폰 보급률 80% + 미국 스마트폰 교체주기 35개월 -> 스마트폰 소비 수요 둔화 - 기능 면에서 삼성 등 안드로이드 진영의 끊임 없는 도전 3. 전략? - 아이폰은 대체로 고가 장비 - SE2 혹은 9의 핵심: 중저가형 아이폰 (가성비 모..

플래그십 스마트폰 세계에서 가성비를 찾는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닙니다. 삼성 갤럭시나 LG G/V 시리즈가 통신사의 지원금을 통해 가격이 낮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새로 출시된 플래그십 폰이 바로 가격을 내려서 나오는 경우는 드뭅니다. (5G 스마트폰의 출시 초반부터 지금까지는 물론 공시지원금 외에 경쟁적인 마케팅이 존재하긴 합니다) 제품의 공식 출시 가격으로만 볼 때, 플래그십 스마트폰에서도 역시 샤오미는 가성비로 어필하고 있습니다. 최근 출시된 홍미(Redmi) K20 프로 라는 이름의 스마트폰은 최신 퀄컴 칩셋인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최고 성능을 자랑하면서도 가격은 동종의 안드로이드 폰들과의 가격면에서 큰 격차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게 191g 액정 6.39인치 수퍼 아몰레드 해상도 및 ..

1. 배경 유튜브 영상, 웹서핑 정도의 기본적인 용도로 쓰다보니 꽤 오래 썼던 아이패드2. (당시엔 몰랐지만 요즘 스마트폰이 2년 넘기기 힘들다는 점에서 엄청난 내구성으로 장기 수명을 보여준 모델인지는 최근에 알았네요) 원치않은 반강제적 IOS9 업데이트 후 한숨 몇번 쉬어야 웹페이지가 넘어가는 상황에서 그냥 서랍 어딘가 내팽개쳤던 아이패드2. 아이패드 프로 3세대의 미친 가격과 2세대의 여전한 미친 가격에 실망과 절망을 느껴 에어3를 구매목록에 올리고 심히 고민하였으나 망설이고 있었습니다. 최근 막강 가성비로 등장한 갤럭시탭 S5E도 리스트에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아이패드 성능이 워낙 잘 나와서 개인적으론 막상 가성비템으로 느껴지지 않아서, 그리고 갤럭시탭의 유튜브 영상용 화면비율의 강점과 제가 주로 사..

포코폰 F1이 워낙 돌풍을 일으켰던 파격적인 가성비로 인해 F2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습니다. F2의 공개 시기나 스펙에 대해서는 아직 루머만 존재하므로, 아래 내용은 정확성이 아직까지는 부족합니다. 포코폰 F2 포코폰 F1 디스플레이 6.4인치 FHD+ 6.18인치 IPS LCD 프로세서 스냅드래곤 855 스냅드래곤 845 용량 6/64GB, 8/128GB 6/64GB, 8/128GB 배터리 4000mAh 4000mAh 충전 퀵차지 4.0 지원 퀵차지 3.0 지원 가격 40~50만원 (예상) 약 30~35만원 여러 예상 이미지 중에 공통적으로 물방울 노치는 존재하고 있어서 탑재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단 지문인식은 후면 혹은 전면 디스플레이 중에 무엇이 적용될지는 불투명해보입니다.
샤오미 스마트폰에 관심이 많다면 최근 출시된 홍미노트7에 대해서는 가성비폰으로 이미 알고 계실겁니다. 중급기의 표준처럼 된 스냅드래곤 660을 장착하고도 4램 64기가 기준 20만원 초반대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알리 익스프레스 기준) 플래그십을 담당하는 미mi 시리즈의 라이트 버전과 같이 홍미노트 시리즈에는 보통 라이트 버전으로 홍미 시리즈가 있습니다. 저가형으로 국내보다는 신흥국에서 보급형으로 팔리는 모델입니다. 홍미노트7의 라이트버전인 홍미7도 최근 출시되었습니다. 출처 : GSMarena 스냅드래곤 632, 2/16 3/32 4/64로 서로 다른 램과 저장공간에 따른 가격구분이 됩니다. 대체로 10만원 초반 ㄷㄷㄷ 2/16 버전은 실사용에 무리가 있을 정도이니 구매대상에서 제외겠고 안정적으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