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갤럭시 (5)
JS의 세계산책

최근 IT계의 이슈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게임 성능(게임 옵티마이징 서비스, GOS) 조작이다. 유튜브의 주요 IT 전문 리뷰 뿐만 아니라 청와대 국민청원에까지 등장하며, 삼성전자 직원의 인터뷰로 더욱 논란이 확산된 모양새다. 단순히 성능 조절 수준이 아니라는 점에서 조작, 속임, 뻥튀기 등의 표현들이 등장하며 삼성의 조치와 대응에 대한 분노에 가까운 반응이 나타나고 있다. 여러 의혹과 주장에 대해 아직 모든 것이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분명한 것은 삼성의 현 대응이 사용자들의 불만을 잠재우지 못했으며, 스마트폰의 성능을 점수화하는 긱벤치 리스트에서 갤럭시 S10부터 S22 전 모델을 제외시킨 것은이 문제가 국제적인 이슈로도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삼성 GOS 이슈의 전조, 원플러스 벤치마크 ..

1. 옵티머스 LTE 2 (2012년 5월) 나름 네모 반듯하고 삼성에 비해 꽤 빠릿빠릿했던 동작 때문에 좋아했던 폰 2. 옵티머스 뷰 2 (2012년 9월) 독특한 화면비율을 가져 눈에 띄었던 폰. 3. 옵티머스 G (2012년 9월) 출시 당시 심플하면서 고급스러운 이미지로 관심을 받았던 모델. 발열, 쓰로틀링으로 고생했던.. 4. G2 (2013년 8월) 가장 멀쩡해서 지금까지도 명작으로 남은 건 G2이지 않을까.. 5. G3 (2014년 5월) LG폰의 전성기에 나온 모델. 오줌액정을 제외하고는 꽤 호평 6. G4 (2015년 4월) 독특한 후면 가죽처리로 주목받았지만... 단통법으로 망했고, 제품 자체의 문제도 많았던 것으로. 7. G5 (2016년 3월) 더 이상 설명이 필요 없는 모델... ..
갤럭시 S10 시리즈의 출시가 서서히 다가오고 있습니다.정확한 출시일은 모르겠지만 이미 스펙과 예상 디자인이 나왔습니다. 갤럭시 S10 시리즈는 3종류로 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S10을 표준으로 하여 더 큰 화면을 가질 S10+와 더 작은 화면과 조금 더 저렴한 가격일 S10e 입니다. 갤럭시 S10e 공식 이미지 : 출처 GSMArena.com 전면 사이드에 카메라 부분만 동그랗게 하고 나머지는 디스플레이로 가득 채운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입니다.전면은 되도록 화면을 채우고자 노력하는 최신의 트렌드를 반영하면서도, 애플과 중국 제조사에서 나타나는 노치 형태를 피했습니다.후면은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서 보여준 가로형으로 카메라를 배열한 구조입니다. 이쁘다는 생각은 들지 않네요. 갤럭시 S10e 스펙- 5.8..
인도에서 출시한 갤럭시 M10, M20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10만원대의 막강한 가성비로 국내에도 들여와 리뷰를 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10만원대에 가성비폰을 출시하는 경우는 있어도삼성이 프리미엄 이미지를 내려놓고 상당히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모습을 최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국내하고는 아무 상관 없는 소리입니다 ㅋ M시리즈의 국내 정발은 아직까지 확인된 바 없습니다하지만! 그래도 국내 출시가 그나마 유력한 모델은 M30입니다.M시리즈 가운데 아직 미출시라 기대되는 폰입니다. 출처 : timesnownews.com - 삼성 갤럭시 M30- 엑시노스 7904- 안드로이드 9.0- 6.38 인치 1080*2280 픽셀 IPS LCD 터치스크린 19:9..
앞면은 좀 샤오미스럽습니다..삼성이 중국 내수용으로 출시한 갤럭시 A6s 입니다. 취향이 좀 갈리겠지만 앞면은 화면 비율이 커지고 있는 요즘 트렌드를 반영한 것이라 별다른 차별성이나 비판할만한 소재는 없어보입니다. 뒷면은 군더더기 없이 깔끔한 이미지입니다마는.. 갤럭시 A6s 스펙 : 삼성 자체생산이 아닌 Wintech라는 곳에서 위탁생산했습니다. (출처: 나무위키) 이미지로만 봐도 카메라가 빈약해보인다는 것과지문인식의 애매한 위치와 크기는 실사용에서 이슈가 될 것 같지만 안면 인식도 지원하니 상호보완이 될 것 같네요. 스냅드래곤 660은 중상위 정도는 되는 스펙을 가지는 만큼 일상적인 사용에서는 매우 쾌적하다 할 수 있겠습니다. 컬러는 블랙, 블루, 퍼플, 레드 등이 있습니다. 특히 실물에서 호불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