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민주당 (5)
JS의 세계산책

해리스-트럼프가 격돌하는 미국 대선은 지금 초박빙입니다. 민주당은 세 가지 불리함에 직면해있습니다. 첫째, 선거에 돌입한 시간입니다.일관되게 자신의 이미지를 각인시켜유권자를 파고든 트럼프와 달리 중간에 등판한 해리스는 자신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절대적인 시간이 부족했습니다. 둘째, 선거 전략입니다.트럼프는 바이든의 나이와 국정운영 능력에 의문을 던졌고,그 의문은 대선후보 토론 중 바이든 대통령의 횡설수설에서 분명히 나타났습니다. 민주당내에서 터져나온 후보 교체 목소리가 트럼프의 공격이 유효했음을 말하는 것이겠죠. 결국 대선후보는 해리스로 교체되었고, 민주당은 나이 문제를 막아냈습니다. 하지만 민주당은 '방어'에 성공한 것이지 '반격'에 성공하지는 못했습니다.민주당은 고령의 문제로 트럼프에게 역공을..

(대선에 비해 6월 지방선거에 대한 외신의 보도는 많지 않았고, 따라서 평가 역시 다양하지는 않았지만 대표적인 기사들을 살펴보면서 이번 선거에 대한 의미를 해외의 시각에서 보고 생각해볼 수 있는 점들을 공유해보고 싶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한국의 윤석열 대통령의 집권 여당이 지방선거에서 승리하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제회복에 대한 그의 계획에 힘을 실어주었다. ... 윤석열의 국민의힘은 3월 대선에서 0.7%의 격차로 승리한 후 지난 달 출범한 정부에 대한 조기 시험대로 여겨졌던 중요한 지역들에서 그 힘을 공고히 했다"고 보도했다. 더불어 민주당의 패배에 대해서는 "최근 몇 년 간 정치 및 성적학대 스캔들에 대한 위선과 부실한 경제정책으로 실망한 많은 유권자들"로 인해 인기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대선 결과에 대해 세계 각국의 언론들도 소식을 전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해외 언론들은 주로 이번 선거에서 논란이 되었던 점들과 새로운 정부에 대한 (특히 우려스러운) 전망에 대해 다루고 있는 걸 확인했습니다. 국가의 입장이나 언론사의 성향에 따라 어느 정도 정해진 톤이 있을 것을 감안하고 이렇게 보도하고 있구나 정도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선정한 것은 1) 영어로 된 기사를 기준으로 2) 최대한 겹치지 않는 핵심 내용을 번역해서 담고 3) 원문 링크를 붙여봤습니다. 기사 내용을 보려면 광고차단을 막게 하거나, 구독을 강요하는 언론사들(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 저널 등....)은 뺐습니다. 사실 여부와 무관하게, 맨 마지막 남아공 기사가 제일 독특했습니다. ㅎㅎ 요미우리 신문 (일본) "윤석열의 승리는 ..

비례대표제를 제대로 보완하지 않으면, 민의를 심각하게 왜곡할 수 있다는 사례를 보여준 한국과 태국 총선. 2020년 8월 경 완성한 이 논문을 쓰면서 당시 민주당의 압승이 뒤끝이 좋지 못할 수 있다는 불안한 마음은 1년이 지난 지금 현실이 되었다. 민주당 소속이었던 이ㅇㅇ 전 의원도 올해 시장선거의 패배가 2020년 총선에서 너무 많은 의석을 가져간 탓이라고 말하기도. 비례대표제가 가진 선거제의 허점과 입법부 독점에 대한 결과가 정책대결의 건전한 선거문화를 만들지 못하고 분노의 투표가 되버린 상황에서 아시아 민주주의 발전에 앞선 길을 걸어온 한국 역시 아직 갈 길이 먼.. (본 내용은 한국외대 동남아연구소 콜로퀴움에서 발표한 자료로 무단 복제를 금합니다.) 출처: 정당명부 비례대표제와 선거제도의 불안정성..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wo recent general election cases in Thailand and South Korea by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same problematic, controversial issue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n the two countries. The election rules based on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stablished before the elections were introduced to allow the current political leadership to stay in power. Through th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