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유엔 (6)
JS의 세계산책

*핵심 - 2016년 10월 콜롬비아 정부 - FARC (콜롬비아무장혁명군) 간 평화협정 체결 - 그러나 폭력사태는 멈추지 않음 - 백인 소수 엘리트 독점, 사회적 불만으로 폭력 유발 -> 라틴아메리카 지역 폭력 유발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연관 1. 도입 1) 평화 연구 - 탈 냉전의 시대 : 국가 간 무력 충돌 감소 -> 종족, 종교, 영토, 경제, 자원, 환경 등에 의한 갈등 (비안보적 갈등) = 국내갈등 확산 - 국내 무력 갈등 (Intrastate Conflict) : 민간인 학대, 인권 문제 -> 국제적 문제 = 안보 위협 주 요인 - 적극적 평화 = 모든 종류의 폭력이 없는 상태 -> 갈등의 구조적 원인 규명의 필요성 - 물리적 폭력 이면에 존재하는 문화적 폭력의 존재 (요한 갈퉁) = 폭력 문..

1. 관할권 -국제 사법 재판은 강제적 관할권이 없음 -국가가 일방적으로 국제적 분쟁을 재판에 넘기거나 타국이 응해야 할 의무가 없음 -관할권은 당사국이 합의하는 경우, 해당 분쟁에만 미침 -당사국의 합의가 없을 경우에는 관할권이 없음 2. 분쟁의 문제 -국제 문서에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명확한 정의가 없음 -국제사법재판소에 의한 분쟁해결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 3. 강제관할권의 문제 -국제연맹(LN) 창설 당시, 강제관할권 규정 삭제 -강대국의 반대 : 당사국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재판 회부 우려 -강제관할권의 발전은 강대국에 역할에 따라 결정될 것 -선택조항 : 타협안으로서 재판관할권을 동일하게 의무를 수락하는 타국가에 대한 관계에서 특별한 합의 없이 선언 및 규정 -분쟁 당사국이 모두 재판에 합의..
1. 1차 세계대전과 전후 처리1) 베르사유 체제의 성립- 1918년 독일 항복- 파리 강화회의 : 패전국에 대한 책임과 응징, 민족자결주의- 승전국과 독일이 맺은 베르사유조약-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독일 식민지 박탈, 영토 손실, 배상금 및 군축- 국제연맹과 한계 2) 대공황과 국제체제의 실패유럽의 경제재건 : 1925년 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미국 : 독일 등 유럽에 차관 제공, 군수품 생산으로 인한 호황자본주의와 국제무역의 확대 : 보호주의와 관세보복생산과 소비의 불균형바이마르 공화국의 초기 경제성장대공황과 전체주의의 득세 2. 전체주의의 등장1) 전체주의의 득세- 전체주의 : 개인의 삶은 없고, 오직 집단을 위해 희생 (조지오웰 “1984”)- 대공황과 정치사회불안정, 바이마르 공화국의 경제 및..
1. Intro- 국제사회 (International Society) – 지구촌, 국제 공동체- 지구촌 : 과학기술, 통신 발전 등으로 인류가 쉽게 왕래하고 소통하는 세상, 하나의 마을처럼 변하고 있는 세계- 지금의 시대(세계)는 어떤 시대이며, ‘나’는 누구인가- 세계화 : 문화(삶)의 교차와 상호작용 예) 교통사고는 왜 일어나게 됐을까? 2. 국제사회의 현상을 보는 방법 (분석 차원)- 하나의 현상, 사건에는 많은 요인들의 상호작용이 있다- 현상의 이해와 분석 : 개인/국가/국제적 차원의 구조적 틀 제시- 모든 현상의 공통점 : 행동하는 주체가 존재한다 = 행위자(Actor) - 예: 한국전쟁(1950)의 발생 원인 - 예2: 이라크전쟁(2003)의 발생 원인 - 예3 : 필리핀 정부 - MNLF /..
Colonial times that persisted until the last century have been considered a nightmare of human history in terms of unequal treatment between colonial power and the colony, but sometimes described as golden eras in countries such as the UK and Japan. Without having a common understanding regarding the recent historical experience in East Asian countries, the neighboring states, especially People’..
(평화 캠프 활용 자료)1. Colonial Period- 1910 ~ 1945 under the Japanese rule - Land reform for Japanese landowners- Forced to change names (창씨개명) - loss of identity- Removal of cultural assets - pagodas & palace buildings to decorate Japanese houses- Comfort women (위안부) as sex slaved were forced to satisfy the need of Japanese soldiers- Beatings, torture and rape were common -> mental trauma- Indepen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