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Review (17)
JS의 세계산책
이미 충분한 가성비로 어필한 홍미노트7에 이어 홍미노트7 프로 버전이 공개되었습니다. 디자인은 그대로 (출처: GSMARENA)주요 스펙은- 스냅드래곤 675 - 6.3인치 IPS LCD 디스플레이 19.5:9 비율 1080*2340 픽셀- 안드로이드 9.0- 후면 듀얼 카메리 48MP/5MP- 전면 싱글 카메라 13MP- 3.5mm 이어폰 잭- 4000mAh 배터리- 4GB+64GB 한화 약 22만원- 6GB+128GB 한화 약 26만원다소 울궈먹은 감이 있는 스냅 660에서 더욱 업그레이드한 675의 등장은 환영할만 합니다.그러면서도 가격상승은 크지 않습니다. 최저가는 4만원차이...ㄷㄷ샤오미의 가성비는 과연 어디까지 일까요?
전통의 강호와 같은 안드로이드 진영의 1위 삼성과 범접하기 힘든 가성비로 인도 등 여러 국가에서 삼성의 아성을 위협하는 샤오미의플래그십 스마트폰이 동시 출격했습니다. 갤럭시10 (출처: GSMArena.com) 샤오미 미9 (출처: GSMArena.com)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디자인 - 지극히 개인 취향이지만 갤10 후면의 가로형 카메라 배열은 디자인상 아주 매력있지는 않은 듯.- 미9은 세로형 카메라 배열과 측면 배치가 기존 아이폰 등 많은 스마트폰이 시도한 것으로 위화감이 없죠. 2. 디스플레이 : 삼성의 승리이지만 그래도 미9에비해 크기가 작다는게 아쉽네요. 3. 무게 : 180그램을 넘지 않다는 점에서 둘다 좋지만 가벼운게 더 좋겠죠? 4. 칩셋 : 국내에는 엑시노스를 넣고 출시할 가능..
갤럭시 S10 시리즈의 출시가 서서히 다가오고 있습니다.정확한 출시일은 모르겠지만 이미 스펙과 예상 디자인이 나왔습니다. 갤럭시 S10 시리즈는 3종류로 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S10을 표준으로 하여 더 큰 화면을 가질 S10+와 더 작은 화면과 조금 더 저렴한 가격일 S10e 입니다. 갤럭시 S10e 공식 이미지 : 출처 GSMArena.com 전면 사이드에 카메라 부분만 동그랗게 하고 나머지는 디스플레이로 가득 채운 새로운 형태의 디자인입니다.전면은 되도록 화면을 채우고자 노력하는 최신의 트렌드를 반영하면서도, 애플과 중국 제조사에서 나타나는 노치 형태를 피했습니다.후면은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서 보여준 가로형으로 카메라를 배열한 구조입니다. 이쁘다는 생각은 들지 않네요. 갤럭시 S10e 스펙- 5.8..
인도에서 출시한 갤럭시 M10, M20이 돌풍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10만원대의 막강한 가성비로 국내에도 들여와 리뷰를 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10만원대에 가성비폰을 출시하는 경우는 있어도삼성이 프리미엄 이미지를 내려놓고 상당히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모습을 최근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국내하고는 아무 상관 없는 소리입니다 ㅋ M시리즈의 국내 정발은 아직까지 확인된 바 없습니다하지만! 그래도 국내 출시가 그나마 유력한 모델은 M30입니다.M시리즈 가운데 아직 미출시라 기대되는 폰입니다. 출처 : timesnownews.com - 삼성 갤럭시 M30- 엑시노스 7904- 안드로이드 9.0- 6.38 인치 1080*2280 픽셀 IPS LCD 터치스크린 19:9..
국내 시장에서 여전히 삼성과 애플이 대부분 스마트폰 점유율을 차지할 텐데요. (엘지 미안)조금만 더 관심 있다면 해외 직구를 통해 더 저렴하거나 독특한 스펙을 가진 경쟁력을 갖춘 폰들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단연 샤오미가 틈새시장을 제대로 노렸고,인도 등지에서는 샤오미의 저가 공세로 삼성을 아슬아슬하게 제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프리미엄폰 (비싼폰)이 대세를 이루는 가운데,샤오미와 같은 가성비폰들을 세컨폰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샤오미를 접하게 된 것으론 대체로 세컨폰으로 독특한 폰을 써보고 싶어서였는데, 쓰다보니 여러 폰을 접해봐서 썼을 때에 느꼈던 점들을 올려봅니다. 1. 샤오이 미맥스11) 장점- 6.44인치의 거대한 크기에 나름 쨍쨍한 디스플레이로 ..
아는 사람은 다 안다는 어플 입니다 ㅋㅋ 오히려 지금 포스팅이 늦었을지도.. 스마트폰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개선해주는 어플로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원리는 DNS서버를 통신사가 아니라 1.1.1.1의 서버를 사용해서 통신사 서버에서 발생하는 지연을 감소시키는 것이라 합니다. 보안성도 좋고 속도 면에서 개선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데, 국내 사이트는 느릴수도 있다고 합니다. 어쩄든 개인적으로 사용해본 바 유튜브 속도는 체감적으로 약간 빨라진 느낌도 듭니다. (뇌피셜일수도) 단, QoS 같은 속도제한은 해당 사항이 아닙니다.
2020년 이후로 미맥스에 대한 업데이트는 없습니다.샤오미 미맥스는 상당히 독특한 포지션으로 사랑을 받았습니다. 태블릿의 영역으로 가기 직전의 폰으로서는 최대 크기를 자랑하며 시원시원한 스크린을 보여줬습니다. 가격에 비해 스펙과 성능 내구성이 모두 나쁘지 않았다는 점도 샤오미 중에서도 미맥스 시리즈가 준 가성비폰으로서의 좋은 인상이었습니다. 특히 미맥스1은 스냅드래곤 652를 탑재하고 4850mAh의 막강 배터리를 넣어 사용시간을 극대화 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미맥스2는 디자인도 전작과 비슷하고 스냅625로 오히려 성능은 퇴보했죠. 미맥스3는 디자인 면에서 큰 개선을 이뤘지만 스냅 636을 탑재하여 중상위급 스펙을 가진 660이 대중화되기 직전을 감안해도 상대적으로 아쉬운 성능을 가진 스펙이..
정말 작정하고 사람을 짜증나게 만들라고 준비를 한 홈페이지 같습니다. 1. 홈페이지 비밀번호 변경 강제보안을 위해 계정의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꾸는 것을 '권장'할 수는 있어도 강제로 바꾸라고 할 수는 없는거 아닌가요?법에 반드시 강제로 바꾸라고 써있나요?내가 내 비밀번호 유지하고 싶은 걸 공인인증서까지 써가면서 허락받아야 하나요?ㅋㅋㅋ 2. 브라우저 환경 지원 크롬에서 제대로 안될거 같으면 그냥 익스플로러 쓰라고 하면 될 것을...납부 방법 변경 때문에 크롬에서 하는 방법을 팝업으로 소개까지 해놨으나해당 플러그인은 검색조차 되지 않는 ㅋㅋㅋㅋㅋㅋ업데이트라곤 그냥 내던져 버렸네요. 어떻게 하면 홈페이지 방문을 안하게 할까 고민하는 유플러스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