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의 세계산책
[번역] 평화로운 세계를 위한 기록과 문화, “평화 박물관” 본문
세계에서 평화란 단어는 보편적 언어로 자리잡고 있다. 세계대전이라는 역사상 유례없는 대량 파괴의 경험과 지구촌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량살상무기의 등장은 인류 전체의 운명을 위협하는 위기에 대한 의식과 함께 세계 평화에 대한 전지구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었다.
평화를 위한 국제기구, 정부 및 시민사회 공동의 협력 중에는 시민들에게 평화에 대한 가치와 숭고함을 알리고 보전하게 하여 평화를 사회 전반의 의식으로 자리잡게 하는 노력도 포함되어있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 특히, 평화를 주제로 한 세계 곳곳의 박물관은 갈등과 분열의 역사를 청산하고 평화의 문화로서 민주주의, 인권, 정의 등의 가치관을 심는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 있다.
프랑스 캉 기념관 (Mémorial de Caen, France)
프랑스 캉(Cean)에 위치한 The Caen Memorial museum: Center for History and Peace는 세계 대전에서 희생된 사람들을 기리고 전쟁의 참상을 돌아보자는 취지로 1989년 설립되었다. 이 곳에는 전쟁에 대한 기록 뿐만 아니라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예술작품 전시와 전쟁 희생자를 기리는 전시회도 열고 있다. 특히, 일반적인 전쟁기념관은 정의와 승리에 초점을 맞춰서 전시를 하지만 캉기념관은 전쟁의 야만성과 그것이 초래한 비인간성에 대해 강조하고 있으며, 프랑스에만 국한하지 않고 민간인 학살, 군인들의 삶 등 전쟁으로 인한 일상의 파괴라는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독일 라이프치히 박물관(Zeitgeschichtliches Forum, Germany)
독일은 전쟁 과정에서 발생한 인간의 잔인성과 오류에 대한 반성과 인간성 회복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9년 개관된 독일의 라이프치히 박물관(Zeitgeschichtliches Forum)은 독재와 저항의 역사 가운데 민주주의를 위해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시민들과 정치인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전시물을 조성하고 있으며, 토론, 강연, 영화제 등 시민 담론을 형성하기 위한 여러 프로그램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캐나다 인권을 위한 캐나다 박물관 (Canadian Museum for Human Rights, Canada)
캐나다는 다문화주의를 법령으로 제정하고, 민족과 문화의 다양성을 통한 공존을 모색하는 실험을 해오고 있다. 캐나다 마니토바주 위니펙에 위치한 CMHR은 캐나다의 150년 인권 투쟁의 역사 외에도 넬슨 만델라의 자유를 위한 투쟁, 인종 차별에 항거한 여성운동, 난민 전시회 등 세계 보편적으로 평화와 정의를 위한 노력의 발자취를 소개하고 있다. 아름다운 건축학적 의미도 가진 CMHR은 지역사회의 학생들과 교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만들어 운영하는 등 많은 방문자를 유치하고 있다. https://humanrights.ca/about
루마니아 평화 박물관 (Peace Museum Valcea Romania)
2018년 1월 개관한 루마니아 Peace Museum Valcea Romania는 평화와 분쟁의 연구를 통해 평화교육의 효과적인 전파를 위해 설립되었다. ‘평화 없이 발전이 없고, 발전 없이 인권이 없다’라는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여 폭력, 테러리즘 등을 해소하고 평화에 대한 인식을 함양하는 평화 교육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다. http://www.peacemuseumvalcea.eu/peace-museum-valcea
캄보디아 평화 박물관(Cambodia Peace Museum)
권위주의 정부에서 대학살로 오랜 기간 갈등과 겪었던 캄보디아에도 국가의 평화 구축을 위한 학습과 평화 사업을 위한 캄보디아 평화 박물관(Cambodia Peace Museum)이 2018년 10월에 개관되었다. 지식인에 대한 탄압의 결과로 캄보디아 사회를 이끌어갈 지도자들의 부족과 사회를 재건하는 데에 대한 심각한 도전을 겼고 있다. 국가적 차원에서 공교육이 자리잡지 못한 상황에서, 캄보디아 평화 박물관은 미래 세대 주역인 청년들에게 캄보디아의 현대사를 통해 화해와 통합의 리더십을 교육하고 있다. http://cambodiapeacemuseum.org/
인도네시아 아시아아프리카회의 박물관 (MUSEUM OF THE ASIAN-AFRICAN CONFERENCE(Museum KAA, Indonesia)
반둥회의라고도 불리는 1955년 인도네시아에서 열린 대규모의 아시아아프리카 회의는 냉전으로 고착화된 이념적 갈등과 극한 대립으로 인한 전쟁의 현실 속에서 냉전 진영에 속하지 않고 평화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국가들의 논의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있었다. 일국의 정치적 입장을 넘어서 세계의 평화와 국제 협력의 근본 원칙을 수호하여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공동 발전을 시도했던 역사를 기념하고 미래 지향적인 평화적 국가 관계, 문화 발전 및 청년 세대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박물관이다.
'국제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8년만에 실시된 3.24 태국 총선거 이모저모 (0) | 2019.03.29 |
---|---|
[교육자료] 상식교육 - 현대 금융위기와 세계적 변화 (0) | 2019.03.01 |
[교안] 국제관계 개론 - 행위자들 (Actors) (0) | 2019.02.24 |
[Review] Japan’s Role as the Second Big Brother? (0) | 2019.02.15 |
Peace Museum – Records and Culture for a Peaceful World (0) | 2019.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