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의 세계산책

[교육자료] 아편전쟁과 중화제국의 해체 본문

역사

[교육자료] 아편전쟁과 중화제국의 해체

Walk in the World 2019. 3. 1. 10:10

1. 아편무역과 아편전쟁의 역사적 기원

- John King Fairbank(1979): “아편무역은 근대에 가장 오래 지속된 국제범죄의 하나”

- 중국인에게 아편무역은 서양의 상업제국주의의 고전적 상징이자 선량한 중국인들을 황폐화시키고 착취한 서양의 탐욕과 폭력의 상징

- 영국의 인도총독부가 1917년까지 100년간 아편생산 주도

- 산업혁명: 서양의 거대한 해외시장 요구 절실. 당시 중국 인구 4억.

- 영국을 중심으로 한 서양국가들의 무역불균형 역전을 위한 전략 차원에서 아편

무역 본격화

- 영국은 중국 차 수입으로 인한 은의 대량 유출에 대처하기 위해 동인도 회사를 통한 아편 생산 및 수출 시스템 확대


2. 아편전쟁의 배경

- 1757년 이후 광주(廣州)가 중국 유일의 개항장=광동 무역체제

- 17세기 말 이후 중국에 대량의 아편 유입

- 1773년 영국은 아편거래 공인:인도 벵골지역에서 아편 생산 확대. 영국 동인도회사, 대중국 아편 생산 및 판매 주도

- 1796년 청조, 아편수입금지령 - 밀무역으로 전환 - 아편선착장이 있는 광동의 관헌들에게 주는 뇌물이 관세를 대신

- 1820년대 영국의 대중국 수출품으로 아편은 목면보다 더 중요 + 중국에서 영국으로 은의 유출 (일조편법)

- 인도 농민들의 아편생산 집중



3. 중영 무역불균형

- 19세기 영국-인도-중국의 3각 무역관계:

- 인도<->중국: 인도의 對 중국 수출품의 49.6%는 아편. 43.2%는 면화. 무역 이윤의 대부분은 영국 차지

- 영국<->중국: 중국의 對 영국 수출품의 95.2%가 차. 하지만 아편무역 이윤이 커서 중국의 은 유출 심각. 금융위기 수준(1820대까지는 유럽의 은이 중국으로 유입)

- 영국<->인도: 영국은 인도에 면직물 공급. 인도는 아편과 면화 생산으로 비용 지불




4. 아편전쟁의 전개과정

- 중국에 아편소비 확산은 사회문제이자 국부 유출의 원인. 영국에게는 무역수지 역전의 일등공신

- 1830년대 말 아편무역을 둘러 싼 영·중갈등 첨예화 à 1838년, 도광제의 아편무역 금지령

- 1839년 중국과 영국은 아편무역에 국가적 사활을 걸고 개입; 임칙서(林則徐) 의 광동 부임. 아편상인 국외 추방, 아편 몰수.소각

- 영국의 대중국 아편무역 대응 : 군사적 대응 vs 유화적 대응

- 중국의 아편무역 단속은 영국과 황실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 군사적 대응

- 영국은 추방된 아편무역 상인들을 홍콩에 정착시킴 à 영국과 홍콩의 인연


- 1840년 6월 영국 원정군의 광동 도착, 전쟁 본격화

- 청, 협상파 기선(천진지역총독)<-> 주전파 임칙서를 이리(伊犁)로 유배.

- 1841년 1월 기선, 영국 요구 수용: 천비가조약(川鼻假條約) 체결--홍콩 할양, 배상금 지불, 광동무역 재개 등

- 도광제, 홍콩 할양 소식(항복문서)에 격노, 기선 파직. 황족인 혁산에게 영국군 섬멸 지시.

- 영국군, 난징 공격에 앞서 최후 통첩

- 남경(南京)조약 체결

- 청조는 난징조약을 왜 서둘러 타결했나?

- 아편전쟁을 계기로 무능한 청조에 대한 ‘반청운동’ 발생. 내우외환 증대


5. 남경조약

- 난징조약 : 중국과 서방과의 최초의 불평등조약. 중국 반식민지화의 시작.영국의 일방적인 특권 보장

- 홍콩할양, 5개 항구 개방(건물 토지 임대)과 영사주재(영사재판권), 공행(公行, 상인조합)의 무역독점 폐지, 배상금 지불, 일방적이고 무조건적인 최혜국 대우 규정(열강간에 중국 침략에 대한 연합 전선 형성)

- 왜 홍콩이냐? 중국의 가장 중요한 통상창구였던 광주와 인접, 포르투갈 장악한 마카오 견제, 중국 동남 연해지역에 대한 군사적 통제에 전략적 가치.

- 중국의 인식 : 난징조약을 전통적인 기미정책 정도로 생각, 고삐를 느슨하게 잡되 끈은 놓지 않는다’는 중국의 이민족 통제 방법의 하나

- 영국을 비롯한 서구열강의 불만 고조: 중국시장의 완전 개방과 자국 공사의 북경상주 요구




6. 아편전쟁의 여파

- 서세동점의 본격적 시작

- 태평천국의 난 (1851-1864) : 농민 대봉기, 신정국가 태평천국 건국운동

- 홍수전 : 자신은 조물주 천부상제 야훼의 둘째 아들이며 천형(天兄) 예수의 동생으로,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예수의 뒤를 이어 중국에서 태어난 제2의 천왕 메시아라는 교리

- 중국 중심의 세계 질서의 회복?

- 조선 : 부패와 말세론, 정감록, 동학농민운동 (1894)

- 일본 : 서구열강에 대한 문호개방, 메이지 유신 (1868)